운영체제의 기술 발전 과정 일괄처리/ 다중 프로그래밍/ 시분활/ 다중 처리/ 분산 처리 운영체제의 발전 과정 1세대 일괄처리 2세대 시분활 다중 프로그래밍/ 처리 실시간 3세대 다중 모드 4세대 분산처리(p2p, 클라이언트, 클라우드 1. 일괄처리 시스템 초기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된 형태 일정량 또는 일정 기간동안 데이터를 모아 한꺼번에 처리하는 방식 - 일괄 처리를 위해 적절한 작업 제어 언어(JCL)를 제공해야함 - 컴퓨터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 - 반환 시간(Turn Around Time)이 늦지만 하나의 작업이 모든 자원 독점이니, CPU 유휴 시간 ↓ 유후 시간 : 어떠한 프로그램에 의해서도 사용되지 않는 상태! 일괄처리의 장점 많은 사용자와 프로그램이 컴퓨터 자원 공유 수동으로 개입..
P2P(동등 계층간 통신망) 비교적 소수의 서버에 집중하기보다는 망구성에 참여하는 기계들의 계산과 대역폭 성능에 의존하여 구성되는 통신망 P2P(peer-to-peer network)는 네트워크 상에서 유저와 유저간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식을 기반 방식의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의 일종 오디오나 비디오, 데이터 등 임의의 디지털 형식 파일의 공유는 매우 보편적으로 사용됩니다. 또한, 인터넷 전화(VoIP)같은 실시간 데이터 등도 P2P 기술을 통해 서로 전달될 수 있습니다. 흔히 다들 알고 계시는 토랜토, 토르 등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우실 겁니다. 💡핵심 : 대등한 관계의 컴퓨터 그룹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중심이 없는 네트워크으로써, 동등한 계층 노드들(peer nodes)이 서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